아래와 같은 상황으로 stack delete 가 계속 fail 되었다.Heat로 VM을 생성하는 과정중에 error 가 발생되었고 에러가 발생된 VM을 수동으로 삭제한후 아래와 같은 stack delete 에러가 발생되었다. 2017-07-12 11:06:30.735 13244 INFO heat.engine.stack [-] Stack DELETE FAILED (AutoScaling-group-zr4gbmlkvzy3): Resource DELETE failed: Conflict: resources.apdlebkgvxmw.resources.sec_group: Security Group 6d2585fc-4e52-4371-aeb2-ada3ff645c64 in use.Neutron server returns r..
Windows에서 ubuntu bash 사용 아래 옵션을 우선 개발자 모드로 변경한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bash를 install 한다.- https://blogs.msdn.microsoft.com/eva/?p=7633 ConEmu 를 사용하여 multi terminal 사용개인적으로 ubuntu 사용의 강점은 다수의 terminal을 단축키로 사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이를 비슷하게나마 도와주는 툴이 ConEmu인것 같다. 아래와 같이 다수의 window를 띄울수 있다. ubuntu 단축키와 같이 ctl +alt + T를 사용하여 바로바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위에 보이듯이 -basic -run {bash} 옵션을 추가하지 않으면 방향키(arrow key)가 먹지 않고function key도 안..
Ansible Tower란?Ansible을 GUI로 관리하고 API로 제어할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서버 사용법서버 시작 및 종료# ansible-tower-service [restart, start, stop] tower-cli 사용http://docs.ansible.com/ansible-tower/latest/html/towerapi/tower_cli.html 사용방법다음과 같은 순서를 기억하자. project -> crudential -> inventory -> template -> run script 1. project 생성시 SCM TYPE은 실제 playbook이 존재하는 디렉토리(혹은 path)로 지정하면 된다.만약 git에 등록되어 있다면 git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위와 같이 man..
openstack API를 활용한 VM live_migration을 수행하는 python script 이다. import os from keystoneauth1.identity import v3 from keystoneauth1 import session from novaclient import client def auth(user, passwd, url): auth = v3.Password(auth_url=url, username=user, password=passwd, project_name='admin', user_domain_id='default', project_domain_name='default') sess = session.Session(auth=auth, verify=False) retu..
VNC 혹은 SPICE HTML5는 OpenStack Dashboard 혹은 command line 사용하여 Guest OS에 remote desktop을 접근할수 있다. 이는 token 인증 관리를 수행하는 nova-consoleauth라 불리는 공유된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중 spice console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Spice Console을 사용하는 방법기본으로 VNC로 console이 설정되어 있다. vnc의 경우 사실 많이 느리고 연결성이 떨어진다.Spice 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미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설치를 한다. # controller && computeyum install openstack-nova-spicehtml5proxy -yyum i..
문제상황정확한 원인은 분석해봐야 하겠지만 mysql recovery가 이루어지면서 아래와 같이 MySQL is not running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해당 상황은 controller 3대가 pacemaker로 clustering 되어 있는 상황으로 galera가 사용되어 모든 node가 master로 동작중이었다. galera(galera)[30956]: INFO: MySQL is not running위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var/log/message에 출력되었고 결론은 해당 controller는 모든 resource가 stop되어 동작하지 않았다. 문제상황이 발생될 경우 아래와 같은 pacemaker 현황 Master/Slave Set: galera-master [galera] galera ..
가상머신에 openstack을 올리는 경우는 hypervisor error간혹 BIOS에서 virtualization support 가 enable 되지 않은 경우 발생된다. grep -e 'vmx|svm' /proc/cpuinfo | wc -l 위 command를 통해 virtual feature가 enable 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실제 enable 되어 있는 경우 count가 1이상이 나오게 된다. resource에 의한 에러실제 할당하고자하는 cpu 혹은 disk, ram 등이 모자라서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아래와 같은 log가 nova-scheduler.log에 발생된다. 실제 해당 log는 debug=true로 설정해야 보여진다.2017-06-14 02:37:14.568 1126 DEBU..
controller 서비스를 내렸다가 올리면서 깜빡하고 loadbalancer를 service start 하지 않고 loadbalancer를 생성한 경우 아래와 같이 pending_create 상태로 남겨진 loadbalancer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어떠한 방법으로도 삭제되지 않아 골머리를 썩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거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우선 알아야 할 것은 openstack의 경우 pending_create, pending_update 상태의 경우 어떠한 액션도 허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이와 같이 pending_create로 남겨진 경우 database에서 직접 삭제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loadbalancer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아래 두개의 tabl..
- Total
- Today
- Yesterday
- Terraform
- azure policy
- openstack backup
- wsl2
- hashicorp boundary
- ceph
- macvlan
- Jenkinsfile
- Helm Chart
- open policy agent
- OpenStack
- metallb
- socket
- crashloopbackoff
- kubernetes install
- openstacksdk
- boundary ssh
- jenkins
- kata container
- aquasecurity
- minio
- minikube
- DevSecOps
- ansible
- GateKeeper
- K3S
- mattermost
- kubernetes
- vmware openstack
- nginx-ingre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