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grant는 다양한 provis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 ansible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Vagrantfile 내에 아래와 같이 ansible playbook.yml 파일 위치를 지정시켜준다. ansible을 지정하고 playbook의 위치를 지정한다. 기본적으로는 playbook이 필요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설정(변수 지정 및 호스트 그룹 추가 등)을 추가할수 있다. https://www.vagrantup.com/docs/provisioning/ansible_intro.html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provision "ansible" do |ansible| ansible.playbook = "provision/pla..
vagrant란? vagrant 홈페이지 첫 페이지에 나와있는 "Development Environments made easy"라는 문구에서 볼수 있듯이 손쉽게 개발 환경을 만들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이다. 실제로 개발에 사용된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거나 혹은 빈 Virtual Machine을 손쉽게 만들어서 개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https://www.vagrantup.com/ vagrant 사용법 ubuntu 19.04 를 laptop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 KVM을 hypervisor로 하여 진행 아래와 같은 명령을 참고하여 사용한다. vagrant box list vagrant init vagrant up vagrant status vagrant halt vagrant dest..

Python 실행 우측하단에 Python 3.7.3 이라는 keyword를 확인할수 있으며 이를 click할 경우 다른 설치된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하단에 "Python 3.7.3 64-bit"을 선택하면 설치되어 있는 Python 버전이 출력되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해볼수 있다. 또한 좌측 하단에 "Python: Current File (workspaces)"이라는 항목을 클릭시 아래와 같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launch.json에 설정되어 있는 실행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launch.json 파일을 확인해 볼수 있다. (Ctrl + Shift + D 로 이동후 좌측상단에 바퀴모양 클릭) 마지막으로 F5(Debug) Button을 실행하면 실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Java Compile 및 jar 파일 생성 및 실행방법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다. 관련된 파일 및 source code는 아래 git link를 참고한다. - https://github.com/jacobbaek/TestJava 앞서 링크된 git link에 존재하는 source code는 다음과 같다. jacob@jacob-laptop:~/workspaces/TestJava$ cat src/MainJava/TestMain.java package MainJava; import SubJava.Subclass; public class Tes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bclass s = new Subclass("Cal..
selinux policy module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의 접근을 추천한다. selinux policy module 을 제작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M4+Compiliation 방식과 CIL 방식이다.CIL(Common Intermediate Language)의 경우 Red Hat Enterprise Linux 7.3부터 정식 지원되고 있다.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7.3_release_notes/new_features_security) 아래 방식은 M4+Compiliation 이다. custom policy 를 제작하는 방법 sepolicy generate tool을 이용하여 임의의..
How to use 사전에 firewall 확인 및 buffer size 확인이 필요하다. 만약 client에서 -w option을 사용 하여 socket buffer size를 지정하는 경우 그에 맞는 설정을 서버에 추가해야 한다. http://fasterdata.es.net/host-tuning/linux/ 실제 아래와 같은 iperf 를 수행해 볼수 있다. Server Side [root@localhost ~] iperf3 -i 10 -s ----------------------------------------------------------- Server listening on 5201 ----------------------------------------------------------- Ac..
Red Hat Virtualization에서 Nested Virtualization 을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nested Virtualization을 사용할 Host에 아래 Package를 설치한다. [root@localhost \]# yum install vdsm-hook-nestedvt 이후 Manager로 접속하여 해당 Host에 Kernel parameter를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Host를 재구동한다.[root@localhost \]# reboot 이후 다시 접속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와 함께 module이 확인된다. [root@localhost \]# cat /sys/module/kvm_intel/parameters/nested Y 참고사이트- https://bugzilla.redhat...
Red Hat Enterprise Linux Kernel Source Code 분석 Red Hat Enterprise Linux 7.4 에 base kernel인 3.10.0-693에 대해 source code를 다운로드 받고 package 상에 포함된 code를 확인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https://access.redhat.com/downloads로 접속하여 분석을 원하는 SRPM package를 다운로드 받는다.앞서 이야기했듯이 우리는 kernel 3.10.0-693에 대한 source code를 보고자 하기에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를 받는다.https://access.redhat.com/downloads/content/rhel---7/x86_64/2456/kernel/3.10.0-693.el..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 policy agent
- minio
- socket
- crashloopbackoff
- ceph
- wsl2
- mattermost
- Helm Chart
- GateKeeper
- kata container
- aquasecurity
- DevSecOps
- nginx-ingress
- openstack backup
- vmware openstack
- K3S
- boundary ssh
- Terraform
- metallb
- openstacksdk
- hashicorp boundary
- kubernetes install
- azure policy
- Jenkinsfile
- macvlan
- jenkins
- OpenStack
- ansible
- kubernetes
- minikub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