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kspace workspace의 경우 기본적으로 아래 경로에 저장되게 된다. /var/jenkins_home/jobs/github-freestyle-webhook/builds/2/archive 실제 Jenkins workspace에서 파일 경로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은 경로를 가진다. https://jenkins.example.com/job/job-name/lastSuccessfulBuild/artifact/README.md 실제 jenkins 경로에서 확인해보면 정확히 매칭되는 경로를 찾을수는 없고 builds 내에 permalinks라는 파일이 존재하고 해당 파일내에 마지막 성공한 빌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해당 number에 맞는 경로를 찾아가게 된다. jenkins@jenkins-cdf944..

ssh 명령을 jenkins 상에서 사용할일이 다수 있는 상황에서 ssh 를 pipeline을 통해 어떻게 사용할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ssh plugi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plugin 설치가 필요하다. (이름은 ssh pipeline steps로 검색된다.) https://plugins.jenkins.io/ssh-steps plugin 설치가 완료된후 ssh key를 등록한다. 배포되어질 서버에 ssh key를 ssh-copy-id 명령을 이용하던지 아니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key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을 이용하여 등록한다. 개인적으로 Passphrase(비밀번호)를 지정하지 않았기에 Passpharse는 빈칸으로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credential(ID : ec..
- Total
- 59,607
- Today
- 36
- Yesterday
- 32
- metallb
- ConEmu
- crashloopbackoff
- devops
- openstack backup
- vmware openstack
- K3S
- kubernetes install
- OpenStack
- wsl2
- macvlan
- boundary ssh
- Terraform
- ansible
- vagrant
- elasticsearch
- Jenkinsfile
- hashicorp boundary
- socket
- gluster
- minikube
- kubernetes
- galera
- dnssec
- DevSecOps
- jenkins
- openstacksdk
- ceph
- minio
- Helm Ch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