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 Loopback (or Hairpin) NAT 환경에서 NAT 뒷단에 두개의 서버 (Server A, Server B)가 있는 상황 Server B는 public ip로 서비스를 하고 있는 상황이며 Server A에서는 public ip로 Server A에 접속해야 하는 상황 이와 같은 경우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NAT loopback 혹은 hairpin 이라고 이야기 한다. iptables를 통한 연결방법 다음과 같은 rule을추가한다. # router: # - eth0 : 82.120.11.22(public IP), # - eth1 : 192.168.1.1(internal IP) # Server a (src) : 192.168.1.100 # Server a (dst) : 192.16..
open 된 proxy 혹은 내부에 제공되는 proxy 서버의 사용을 다음과 같이 수행할수 있다. Linux 환경이라면 아래와 같은 환경변수를 추가하면 된다. export http_proxy="http://USER:PASSWORD@PROXY_SERVER:PORT" export https_proxy="https://USER:PASSWORD@PROXY_SERVER:PORT" export ftp_proxy="http://USER:PASSWORD@PROXY_SERVER:PORT" https://www.shellhacks.com/linux-proxy-server-settings-set-proxy-command-line/ 실제 cURL을 통해 연결시도를 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root@ubun..
Cisco Switch 에 SSH를 enable 하는 방법cisco switch catalyst 3560에 SSH로 연결할 이슈가 생겨 SSH를 Enable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사전준비Switch> enableSwitch# conf terminalSwitch(config)# hostname my_domainSwitch(config)# ip domain-name my_domain.comSwitch(config)# crypto key generate rsaSwitch(config)# show running-config SSH 설정Switch# conf terminalSwitch(config)# ip ssh version 2Switch(config)# ip ssh timeout 120 authentic..
- Total
- 56,421
- Today
- 3
- Yesterday
- 132
- OpenStack
- WayPoint
- socket
- devops
- macvlan
- Jenkinsfile
- Helm Chart
- openstack backup
- minio
- ansible
- crashloopbackoff
- hashicorp boundary
- ConEmu
- DevSecOps
- kubernetes install
- ceph
- boundary ssh
- Vault
- openstacksdk
- vmware openstack
- vagrant
- jenkins
- galera
- Terraform
- kubernetes
- gluster
- wsl2
- elasticsearch
- minikube
- dns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