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go CD Notification 은 Argo CD Notifications는 지속적인 Argo CD applications들을 모니터하고 Application 상태의 중요변경사항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유연한 방법을 제공한다. 출처 : https://argocd-notifications.readthedocs.io/en/stable/ 참고 아마 Argo CD 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대략 Application이 무엇인지는 알거라 판단된다. 그래도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특징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Argo CD의 sync 되어지는 Application을 관리한다. Application Custom Resource Definition(applications.argoproj.io) 이다. Argo CD에 의해..
ArgoCD에서 sync 되는 application은 CRD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말은 manifest로 관리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manifest 자체를 git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식을 하기전 ArgoCD 의 argocd-util을 사용한 cronjob으로 manifest를 먼저 만들어내는 backup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Prerequites 간단하게 구현하기 위해 local storage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manifest를 host에 바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local storage class 다음 링크에 local storage class 에 대해 설명이 나와있다.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storage/storage-classes..
Kubernetes 는 내부에 coredns를 통해 별도의 DNS서버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외부에 등록되지 않은 별도의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하여 이를 어떤식으로 설정할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Kubernetes DNS의 기본구성 먼저 간단히 구성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은 coredns와 nodelocadns를 다수 확인할수 있다. [root@localhost ~]# kubectl get pod -n kube-system | grep dns coredns-7677f9bb54-5p6xl 1/1 Running 1 4d coredns-7677f9bb54-p9j47 1/1 Running 2 30d dns-autoscaler-5b7b5c9b6f-czlcl 1/1 R..
기존에 helm chart를 통해 Application 배포를 수행했었다. helm을 사용하면서 아쉬웠던 부분은 helm value로 지정되어 있지 않거나 특정 resource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helm chart 자체의 개선이 필요했다. 이로 인해 시간이 좀더 소요되었었고 이슈가 있을 경우 helm chart의 구조를 모르는 경우는 분석에 또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이슈를 다르게 접근한 Kustomize라는 도구를 알게 되었고 이 단점들을 어느정도 보완해줄수 있는 도구라는 생각이 들었다. Kustomize 란 Kustomize는 사실 2017년부터 만들어졌고 소개되어왔다. 현재는 kubectl에 1.14부터 포함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Kustomize는 선언적(declarative)를 지향한다. ..
- Total
- 103,852
- Today
- 16
- Yesterday
- 49
- socket
- minio
- dnssec
- crashloopbackoff
- openstack backup
- Jenkinsfile
- Terraform
- galera
- minikube
- ansible
- boundary ssh
- kubernetes
- kubernetes install
- openstacksdk
- wsl2
- DevSecOps
- macvlan
- mattermost
- jenkins
- Helm Chart
- metallb
- nginx-ingress
- ulimit
- OpenStack
- elasticsearch
- hashicorp boundary
- vmware openstack
- K3S
- ConEmu
- ce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