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buntu에서 사용되는 netplan은 다음과 같은 ring buffer 설정을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ETHTOOL_OPTS="-G ${DEVICE} rx 1024 ; -G {$DEVICE} tx 1024"그러면 ringbuffer size 변경과 같이 재부팅후에도 적용이 되어야하는 설정의 적용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먼저 github에 보고된 내용이다. https://github.com/systemd/systemd/issues/13601 갑자기 systemd가 나온다. 이유는 netplan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상단에서 systemd-networkd (혹은 NetworkManager)에서 실행될수 있는 backend file을 생성하게 된다. https://netplan.io/ 즉..
nftables 현대적인 Linux kernel packet 분류 프레임워크이다. 고전인 xtables( {ip,ip6,arp,eb}_tables ) 환경을 대신하여 새로운 코드가 사용되어진다. 즉, 리눅스 커널에서 새로운 패킷 필터링 / 방화벽 엔진으로 현재 iptables, ip6tables, arptables, ebtables 로 나뉘어서 사용되던 것을 nftables로 교체 및 통합 한다. https://wiki.nftables.org/wiki-nftables/index.php/What_is_nftables%3F nftables 동작을 위한 기반사항 Linux kernel since 3.13 이상 libmnl (minimalistic Netlink library) libnftnl (저수준 netl..
- Total
- 114,166
- Today
- 18
- Yesterday
- 125
- ceph
- galera
- wsl2
- Jenkinsfile
- DevSecOps
- Helm Chart
- K3S
- kubernetes
- metallb
- Terraform
- nginx-ingress
- kubernetes install
- openstack backup
- hashicorp boundary
- dnssec
- macvlan
- mattermost
- elasticsearch
- minikube
- crashloopbackoff
- openstacksdk
- ConEmu
- ansible
- jenkins
- OpenStack
- ulimit
- boundary ssh
- vmware openstack
- minio
- soc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