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하다보면 개발용으로 minikube를 사용하고 실제 test 혹은 QA 용, production용으로 kubernetes를 다르게 두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어떤 방식으로 kubectl의 config를 설정하면 좋을지에 대하여 기술해본다. 우선 kubectl을 설치한다. https://kubernetes.io/docs/tasks/tools/install-kubectl/ 이후 minikube를 설치하고 production 환경의 kubernetes 정보를 확인한다. kubectl 및 minikube를 처음 설치한 후에는 아래와 같이 config 정보를 확인해볼 수 있다. PS C:\Users\Jacob> kubectl.exe config view apiVersion: v1 clusters:..

GitLab에서는 Kubernetes Cluster를 손쉽게 추가하여 deploy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간단히 k3s를 내부에 설치하고 이를 gitlab에 추가하는 과정을 알아보자. Kubernetes(K3s) 설치 우선 간단한 k3s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k3s의 경우 이름이 8->3 로 되어 있는것에서 유추할수 있듯이 가볍고 설치도 아래의 명령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아래 내용을 우선 확인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에러없이 설치가 쉽게 이루어진다. selinux permissive로 변환 path 확인(kubectl이 /usr/local/bin/내에 설치되어 path 지정이 안되어있을 경우 k3s의 설치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아래 링크를 따라 install file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wsl2
- kata container
- aquasecurity
- kubernetes install
- macvlan
- socket
- openstacksdk
- mattermost
- minikube
- ceph
- metallb
- OpenStack
- K3S
- vmware openstack
- open policy agent
- minio
- azure policy
- Terraform
- jenkins
- boundary ssh
- nginx-ingress
- Jenkinsfile
- kubernetes
- ansible
- Helm Chart
- DevSecOps
- GateKeeper
- crashloopbackoff
- openstack backup
- hashicorp boundar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