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SQA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런업무들을 수행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automation testing system 구축 및 유지보수automation testing system 신규 구축 및 유지보수 automation testing 의 발전된 기술, 시스템 적용 반복적인 테스트(regression test)에 대한 케이스 도출 및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new feature에 대한 테스트 수행automation testing 으로 수행이 어려운 다양한 테스트 수행 performance test 수행security test 수행compatibility test 수행whitebox test 수행(with structural test) (아직 실제로 접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여기에 작성함. 아마도 더..
queryperf란? DNS 성능테스트툴로 다량의 도메인 쿼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수 있는 도구이다. 동작방식은 -d 옵션을 통해 입력받은 domain (record 포함)에 대해 -q 옵션에 맞는 쿼리 갯수만큼 쿼리를 발생시키며 -t 옵션에 맞는 timeout 만큼 대기하고 대기시간동안 응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Timeout] msgid"을 출력한다. 설치 및 수행방법 bind 소스를 다운로드 받아서 컴파일 수행시 툴이 만들어진다.web browser 혹은 ftp command를 통해 다운로드를 받는다. [root@localhost /]# ftp ftp.isc.orgftp> cd isc/bind/9.9.1ftp> haftp> biftp> mget *.gz 다운로드 받은 소스파일을 압축해제후 /co..
paramiko feature- paramiko는 platform에 독립적이다.- ansible에서 사용되고 있다. Linux 별 설치ubuntu 설치는 apt-get 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paramikoCentOS 설치는 아래와 같다.- sudo yum install python-paramiko 기본적인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paramiko def main(): ssh = paramiko.SSHClient() ssh.set_missing_host_key_policy(paramiko.AutoAddPolicy()) ssh.connect('127.0.0.1', port=22, username='test', password='test123'..
배경 클라우드 서비스를 단순히 컴퓨팅 자원만 제공하는 선을 넘어서 사용자가 좀더 쉽고 불필요한 고민없이 사용할수 있는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용어에 대한 설명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발음 : 이아스 혹은 아이아스 이런식으로 관련 업계사람들이 발음을 한다. 하드웨어와 그에 맞는 OS를 제공받음(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컴퓨터라 생각하면 좋다.), 대표적인 서비스는 AWS, Azure, GCP 등이 존재한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발음 : 파스 OS를 넘어선 기본적인 software와 개발도구등을 제공해준다. google app engine이나 openshift와 같은 서비스가 대..
testlink의 사용목적 - 테스트 케이스 관리 및 테스트 편의성 증대 testlink의 기능 - 테스트 플랜 관리 - 빌드/릴리즈 관리 - 사용자별 역할 - 마일스톤 개요(주요내용) testlink 구조 - 테스트 프로젝트(project) - 테스트 계획(plan)- 테스트 실행(execute)- 테스트 결과(result)- 빌드(build) - 사용자(user) testlink 사용법실제로 testlink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참고사항testlink installtestlink process (사용에 관련된 프로세스)testlink 설정hudson(jenkins) 연동testlink 사용법 참고사이트- http://allabouttestlink.blogspot.kr/ (설치관련..
strace는? 시스템콜 및 시그널을 추적하는 명령어 프로그램의 문제를 분석하는 디버깅하는 용도로 사용됨. 사용법은 ID 혹은 Command 로 나뉘어 추적할수 있다. usage: strace [-CdffhiqrtttTvVwxxy] [-I n] [-e expr]... [-a column] [-o file] [-s strsize] [-P path]... -p pid... / [-D] [-E var=val]... [-u username] PROG [ARGS] or: strace -c[dfw] [-I n] [-e expr]... [-O overhead] [-S sortby] -p pid... / [-D] [-E var=val]... [-u username] PROG [ARGS] 사용했던 option은 다음과 ..
[Install] Ubuntu Side - 앞서 jdk가 당연히 설치되어야 한다.- 다운로드를 받는다.(http://www.eclipse.org/downloads/)- /usr/local/ 폴더에 해당 파일을 압축해제 한다.- 다음의 과정을 통해 실행파일을 생성한다. /usr/bin/eclipse 생성 및 아래 코드 추가 #!/bin/shexport ECLIPSE_HOME="/usr/local/eclipse"$ECLIPSE_HOME/eclipse $* - 생성된 실행파일의 실행권한을 추가한다.- 다음의 과정을 통해 실행파일에 대한 아이콘 생성을 한다. /usr/share/applications/eclipse.desktop 생성 및 아래 코드 추가 [Desktop Entry]Encoding=UTF-8Nam..
- Total
- Today
- Yesterday
- Terraform
- nginx-ingress
- azure policy
- ceph
- kubernetes
- kubernetes install
- macvlan
- OpenStack
- openstacksdk
- ansible
- wsl2
- DevSecOps
- K3S
- open policy agent
- openstack backup
- mattermost
- boundary ssh
- Helm Chart
- Jenkinsfile
- metallb
- crashloopbackoff
- minikube
- aquasecurity
- kata container
- jenkins
- GateKeeper
- vmware openstack
- minio
- hashicorp boundary
- socke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